"생각실험실 일기"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uminulture (토론 | 기여) 잔글 |
Suminulture (토론 | 기여)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 | 20120104: 상상화는 지난 저녁에 보아의 연습생 시절 | + | 20120104: 상상화는 지난 저녁에 보아의 연습생 시절 영상 |
+ | <youtube>3iByfKgoqlk</youtube> | ||
+ | 을 보고 열심히 해야지 성취할 수 있는 듯 하다고 클라라에게 이야기했다. 클라라는 인문학을 그렇게 열심히 하는 사람이 잘 없다고 이야기한다. 상상화는 오전에 [[우리 말길]]을 읽고 거침없는 피드백을 해주었고 클라라는 상심한다. 상상화는 클라라가 내용은 좋지만 이 내용을 학습자가 잘 이해할 수 있게 표현하는 법을 잘 모른다고 따졌다. 클라라는 오전에 성찰을 번역하고 가사노동을 했다. | ||
20120103: 오전에 클라라는 논문을 읽었고 상상화는 감사카드를 쓰고 [[우리 말길]]원고를 검토하였다. 상상화는 수학의 정석이 학교에서 수학시험을 배우는 사람들 사이에서 불변의 베스트셀러 교과서로 남아있는 것처럼 [[우리 말길]]또한 논리학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생각을 또렷이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부하고 넘어가야할 첫 교과서가 되기를 꿈꿨다. 심리학적으로, 인지과학적으로 학습자가 어떤 정보를 더 잘 익힐 수 있게 도와주는 어떠한 장치들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우리 말길]]은 내용은 좋지만 그러한 장치들이 잘 되어 있지 않다고 상상화는 생각한다. 예컨대 학습목표를 적어주고, 단원의 제목을 좀 더 명쾌하게 적어주고, 마지막엔 반드시 알아야할 것을 요약해주고 등등. 그 문제들을 가지고 몇몇 논쟁들이 있었는데 클라라는 문제집 같이 만들기보다는 교양서와 교과서의 어떤 중간 단계를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 점심 시간에는 이학사 출판사에 디자인을 하시는 어떤 분이 놀러오셔서 같이 점심을 먹으며 소소한 이야기들을 나눴다. | 20120103: 오전에 클라라는 논문을 읽었고 상상화는 감사카드를 쓰고 [[우리 말길]]원고를 검토하였다. 상상화는 수학의 정석이 학교에서 수학시험을 배우는 사람들 사이에서 불변의 베스트셀러 교과서로 남아있는 것처럼 [[우리 말길]]또한 논리학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생각을 또렷이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부하고 넘어가야할 첫 교과서가 되기를 꿈꿨다. 심리학적으로, 인지과학적으로 학습자가 어떤 정보를 더 잘 익힐 수 있게 도와주는 어떠한 장치들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우리 말길]]은 내용은 좋지만 그러한 장치들이 잘 되어 있지 않다고 상상화는 생각한다. 예컨대 학습목표를 적어주고, 단원의 제목을 좀 더 명쾌하게 적어주고, 마지막엔 반드시 알아야할 것을 요약해주고 등등. 그 문제들을 가지고 몇몇 논쟁들이 있었는데 클라라는 문제집 같이 만들기보다는 교양서와 교과서의 어떤 중간 단계를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 점심 시간에는 이학사 출판사에 디자인을 하시는 어떤 분이 놀러오셔서 같이 점심을 먹으며 소소한 이야기들을 나눴다. |
2012년 1월 4일 (수) 15:58 판
20120104: 상상화는 지난 저녁에 보아의 연습생 시절 영상 <youtube>3iByfKgoqlk</youtube> 을 보고 열심히 해야지 성취할 수 있는 듯 하다고 클라라에게 이야기했다. 클라라는 인문학을 그렇게 열심히 하는 사람이 잘 없다고 이야기한다. 상상화는 오전에 우리 말길을 읽고 거침없는 피드백을 해주었고 클라라는 상심한다. 상상화는 클라라가 내용은 좋지만 이 내용을 학습자가 잘 이해할 수 있게 표현하는 법을 잘 모른다고 따졌다. 클라라는 오전에 성찰을 번역하고 가사노동을 했다.
20120103: 오전에 클라라는 논문을 읽었고 상상화는 감사카드를 쓰고 우리 말길원고를 검토하였다. 상상화는 수학의 정석이 학교에서 수학시험을 배우는 사람들 사이에서 불변의 베스트셀러 교과서로 남아있는 것처럼 우리 말길또한 논리학을 배우고자 하는 사람이라면, 생각을 또렷이 하고 싶어하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공부하고 넘어가야할 첫 교과서가 되기를 꿈꿨다. 심리학적으로, 인지과학적으로 학습자가 어떤 정보를 더 잘 익힐 수 있게 도와주는 어떠한 장치들이 있다고 생각되는데 우리 말길은 내용은 좋지만 그러한 장치들이 잘 되어 있지 않다고 상상화는 생각한다. 예컨대 학습목표를 적어주고, 단원의 제목을 좀 더 명쾌하게 적어주고, 마지막엔 반드시 알아야할 것을 요약해주고 등등. 그 문제들을 가지고 몇몇 논쟁들이 있었는데 클라라는 문제집 같이 만들기보다는 교양서와 교과서의 어떤 중간 단계를 생각하고 있는 듯 하다. 점심 시간에는 이학사 출판사에 디자인을 하시는 어떤 분이 놀러오셔서 같이 점심을 먹으며 소소한 이야기들을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