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타

Organ
이동: 둘러보기, 검색

기타etc가 아이디어를 남기는 공간입니다. 무럭무럭 키워나갑시다.

사업 아이템 아이디어

종이책

논리학

  • 우리 말길
  • 우리 말길 익힘

-> 대학 교재로만 사용 가능하게 말고, 진짜 책처럼. 사이즈와 디자인, 편집 모두.

다슬기-고전

  • 고르기아스

생각실험실 회고록(?)

전자책

논리학

  • 우리 말길

철학 잡지

  • 매 권이 모두 소장 가치가 있도록. Ex) 고르기아스 특집 등등
  • 변하지 않을 진리와 시의성을 모두 담을 수 있을까?
  • 잡지는 수익을 얻는 수단이 아니라 기업을 홍보하는 수단입니다 feat.베네핏


팟캐스트

홍보 수단.

  • 장점: 보다 많은 사람들과 함께 할 수 있는 기회이고 생각실험실과 우리가 알리고 싶은 바를 널리 알릴 수 있다. 홍보를 통해 간접적 수익을 얻을 수 있다.
  • 단점: 팟캐스트는 돈을 받지 않음. 수익성 없다ㅠㅠ

공공철학

1. 지하철 스크린도어에 시 대신 철학 문제를?

  • 장점: 불특정 다수를 향한 철학. 사람들에게 철학이 좀 친근하게 다가갈 수 있는 계기가 되지 않을까?
  • 단점: 스크린도어에 이용되는 시는 시민들의 추천을 받아서 올라오는 것이고, 스크린도어에 올라가는 것을 조건으로 해서 백일장처럼 시민들의 시를 공모받기도 하고 있다. 이미 스크린도어 시가 하나의 특징, 분야로 자리 잡은 듯하다. 스크린도어와 유사한 다른 곳을 노려야할 듯.

2. 대학 학보나 지하철 무가지에 오늘의 철학/논리문제로 매일 하나씩 논리 문제 투고

  • 장점: 장기적이고 규칙적인 일.
  • 단점: 대학 학보에 할 경우 수익이 적을 것이고, 우리가 대학 학보에 글을 실을 수 있을 지도 미지수. 학보는 학생들이 쓰는 거니까 기업이 들어갈 공간이 없다. 일반 신문에 들어가기도 어려울 것 같고.. 무가지는 스마트폰이 생겨서 시장이 많이 축소되었다.

3. 축제/행사에서 청계천, 시청 광장 등의 공간을 이용하여 논리학 문제를 풀어야 하는 미로/보물찾기/...를 만드는 건 어때?

  • 장점: 친근한 느낌으로 철학을 소개할 수 있다. 놀이처럼, 행사처럼. 축제 기획 단계에서 피티 등을 통해 따낼 수 있다.
  • 단점: 어떤 축제에 어울릴까? 철학/인문 축제가 열리기도 하나? 학회 말고, 대중이 많이 참여하는 행사여야 한다. 단기간에 끝낼 수 있는 일이 아니다. 계획을 더욱 구체적으로 짜고, 기획 중인 적당한 축제를 탐색해야 한다.

->부산 달맞이언덕에서 매년 10월 경에 달맞이 인문학 축제가 열린다. 이것말고는 http://korean.visitkorea.or.kr/에서 2012.01.01~2012.12.31 기간동안 책/철학/인문 키워드로 검색했을 때 유익한 결과 없음.

강의/캠프

우리가 출판한 책을 이용한 것. 적어도 그 내용을 포함하는 것 논리학. 비판적 사고 캠프

기업 대상

숨: 논리학일 경우 하고 싶다.

  • 베네핏; 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것이 영향성, 홍보성, 수익성 모든 면에서 좋다.

개인 대상

대상: 초등/중등/고등/일반

  • 장점: PSAT나 TOCT처럼 필요한 사람이 명확하다. 이 시장을 공략하면 국가고시가 없어지지 않는 한 수요는 있다. Toct로 입학사정관제를 노리는 수험생들도 좀 있는 듯.
  • 단점: 시장 경쟁이 치열하다. 이미 매우 많은 강사들이 인강 중. 우리가 인강 등 강의를 할 학위도 없고 경력도 없다. 우리 중에 해당 시험 점수가 있는 사람이 아무도 없다. 국가고시 말고 일반적인 논리 캠프를 한다면 가능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