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나저러나 익힘

Organ
Oxys (토론 | 기여)님의 2012년 8월 16일 (목) 13:05 판 ()
이동: 둘러보기, 검색


다음 추론이 이러나저러나를 바르게 쓴 추론이면 “바”라고 쓰고 잘못 쓴 추론이면 “못”이라고 쓰세요.


다01. 〈 〉 지아는 동물 실험에 반대하거나 육식주의를 반대한다. 지아가 동물 실험에 반대한다면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지아가 육식주의를 반대한다면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다02. 〈 〉 발레는 대사 없는 극무용이거나 무언극이다. 발레에 배경음악이 중요하다면 발레는 대사 없는 극무용이다. 발레에 배경음악이 중요하다면 발레는 무언극이다. 따라서 발레에는 배경음악이 중요하다.



다03. 〈 〉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은 새로운 기능을 첨가하고 디자인을 보완할 것이다.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이 새로운 기능을 첨가한다면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이 디자인을 보완한다면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따라서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본보기: 대한민국 검찰은 부패했거나 조직의 안전을 우선시한다. 만일 대한민국 검찰이 부패했다면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만일 대한민국 검찰이 조직의 안전을 우선시한다면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따라서 답: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라01. 젊은 세대는 대체로 현실 정치에 관심이 없거나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다. 젊은 세대가 대체로 현실 정치에 관심이 없다면 우리나라는 늙은이의 세계관에 따라 점차 쇄락해갈 것이다. 젊은 세대가 대체로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면 우리나라는 늙은이의 세계관에 따라 점차 쇄락해갈 것이다. 따라서

라02. 별자리가 유목민의 여정에 기원을 두고 있다면 별자리는 실용적 목적을 지녔을 것이다. 별자리가 고대 문명의 천문관측에 기원을 두고 있다면 별자리는 실용적 목적을 지녔을 것이다. 별자리는 유목민의 여정에 기원을 두고 있거나 고대 문명의 천문관측에 기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라03. 만일 우리 인식이 대체로 틀리지 않다면, 아무도 세계를 인식하지 않아도 세계는 여전히 실재할 것이다. 만일 오류 개념이 오직 바깥 세계에 근거해서만 성립한다면, 아무도 세계를 인식하지 않아도 세계는 여전히 실재할 것이다. 우리 인식은 대체로 틀리지 않았거나 오류 개념은 오직 바깥 세계에 근거해서만 성립한다. 따라서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 이러나저러나를 완성한 뒤, 세 전제들 중 하나를 왜냐하면으로 돌리세요.


마01. 시나위는 악보 없이 연주하는 곡이거나 정형화되지 않은 기악곡이다. 시나위가 악보 없이 연주하는 곡이라면 연주자는 시나위를 즉흥적으로 연주해야 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시나위를 즉흥적으로 연주해야 한다. 왜냐하면

마02. 빅 브라더가 정보를 독점한다면 사회는 그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빅 브라더가 모든 것을 감시한다면 사회는 그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는 빅 브라더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왜냐하면

마03. 예술의 정의는 모호하거나 시대에 걸쳐 진화한다. 예술의 정의가 모호하다면 우리는 예술의 정의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예술의 정의를 알기 어렵다. 왜냐하면

마04. 우리가 다양한 시각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우리가 합당한 비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면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왜냐하면

다음 추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 보세요.

  •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풀어야 하는 다양한 문제를 만들어 보세요.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러나저러나 등을 써야 하는 것이면 더 좋아요.


바01. 은은 금속이거나 고체이다. 은이 금속이라면 은은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정하다. 은이 고체라면 은은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정하다. 은이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전하다면, 은은 화폐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은은 화폐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바02. 지나는 검소하거나 성실하다. 지나가 성실하다면 지나는 점차 행복해질 것이다. 지나가 검소하다면 지나는 자기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지나가 자기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다면 지나는 점차 행복해질 것이다. 지나가 점차 행복해진다면 지나는 더 이상 자살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지나는 더 이상 자살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바03. 백설이 질투심에 사로잡혀 있다면 백설은 행복하지 않다. 백설은 난쟁이와 계속 살거나 왕자를 만난다. 백설이 난쟁이와 계속 산다면 백설은 난쟁이와 결혼한다. 백설이 왕자를 만난다면 백설은 왕자와 결혼한다. 백설이 난쟁이와 결혼한다면 백설은 행복하다. 백설이 왕자와 결혼한다면 백설은 행복하다. 따라서 백설은 질투심에 사로잡혀 있지 않다.

바04. 보툴리눔 독소가 보톡스의 주원료라면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가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가 근육을 마비시킨다면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보툴리눔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는 보톡스의 주원료이거나 근육을 마비시킨다. 따라서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바05. 팥쥐가 착했다면 팥쥐는 콩쥐를 도왔을 것이다. 팥쥐는 콩쥐를 돕지 않았고 잔치에 놀러갔다. 팥쥐는 잔치에 놀러가지 않았거나 콩쥐는 밑빠진 독에 물을 채워 넣었다. 콩쥐가 밑빠진 독에 물을 채워 넣었다면 두꺼비는 콩쥐를 도왔다. 콩쥐가 착하지 않았다면 두꺼비는 콩쥐를 돕지 않았다. 따라서 콩쥐는 착하지만 팥쥐는 착하지 않다.

다음 추론의 결론을 기본 추론규칙과 뒤로 이면 없애기 따위를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낼 수 있으면 “수”라 쓰고 이끌어낼 수 없으면 “못”이라고 쓰세요.

  • 거짓이다 없애기,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넣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면 잇기, 이러나저러나를 모두 쓸 필요는 없고, 이 가운데 일부를 쓴 추론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타당할 필요는 없고, 타당한지 부당한지 헷갈릴 수 있는 문제를 만드세요.

사01. (주) 약자에게 환대를 베풀거나 약자를 내쫓지 않아야 한다. 약자에게 환대를 베푼다면 약자를 공격하지 않아야 한다. 약자를 내쫓지 않는다면 약자를 공격하지 않아야 한다. 모든 사람은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는 것이 거짓이라면 모든 사람은 평등하지 않다. 모든 사람은 평등하다. 따라서 약자를 공격하지 않아야 한다는 것은 거짓이 아니고 모든 사람은 존중받을 권리가 있다.

사02. (주) 모네는 수련 연작을 그렸고 직접 정원을 가꾸었다. 모네가 직접 정원을 가꾸었다면 자신의 정원을 그림으로 남겼을 것이다. 모네가 자신의 정원을 그림으로 남겼다면 우리는 그림을 통해 모네의 정원을 볼 수 있을 것다. 모네는 프랑스의 인상파 화가이거나 자신의 정원을 그림으로 남기지 않았다. 따라서 모네는 수련 연작을 그렸고 우리는 그림을 통해 모네의 정원을 볼 수 있다.

사03. (주) 지렁이는 흙 속의 유기물을 먹고 좋은 거름이 되는 똥을 배설한다. 지렁이가 흙 속에서 돌아다닌다면 흙에 공기가 흐를 수 있게 할 것이다. 지렁이가 흙에 공기가 흐를 수 있게 한다면 지렁이는 흙에 도움이 된다. 지렁이가 좋은 거름이 되는 똥을 배설한다는 것은 거짓이거나 지렁이는 환형동물이다. 따라서 지렁이는 환형동물이고 흙에 도움이 된다.

사04. (주) 견과류는 포만감을 주거나 견과류에는 불포화 지방이 들어있다. 견과류가 포만감을 준다면 과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견과류가 과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견과류는 건강에 좋다. 견과류에 불포화 지방이 들어있다면 견과류는 건강에 좋다. 따라서 견과류는 건강에 좋다.

사05. (수) 여기에선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거나 언론이 공정하게 사건을 다룬다. 여기에선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는다. 여기에서 언론이 공정하게 사건을 다룬다면 시민들이 정치에 깨여있다. 언론이 공정하게 사건을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시민들이 정치에 깨어있지 않다.

사06. (수) A국가가 내전이 일어난 나라라면 공동체 의식이 약화된다. A국가에서 공동체 의식이 약화된다면 시민들은 불행하다. A국가의 시민들은 불행하지 않고 정치적으로 깨어있다. 따라서 A국가는 내전이 일어난 나라가 아니고 A국가의 시민들은 정치적으로 깨어있다.

사07. (수) 미나가 머리를 검정색으로 염색한다면 다시 갈색으로 염색하기 어렵다. 미나는 머리를 검정색으로 염색했거나 초록색으로 염색했다. 미나가 초록색으로 염색을 한다면 부모님께 혼났을 것이다. 미나는 부모님꼐 혼나지 않았다. 따라서 미나는 다시 갈색으로 염색하기 어렵거나 머리를 잘랐다.

사08. (수) 유나는 일기를 쓰거나 일기를 쓰지 않는다. 유나가 일기를 쓰지 않는다면 자신의 행동을 반성할 시간을 갖지 않게 될 것이다. 유나가 일기를 쓴다면 자신의 행동을 반성할 시간을 갖게 될 것이다. 유나가 자식의 행동을 반성할 시간을 갖게 된다면 자신의 행동을 교정할 수 있을 것이다. 유나가 자신의 행동을 교정할 수 있다면 유나는 이전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유나는 이전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수 있을 것이다.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나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빈 칸에 들어갈 전제와 결론은 될 수 있는 한 단순해야 합니다.

  • "바" 문제에서 만들 만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결론을 지워 따라서 문제를 만들거나, 전제들 중 하나를 지워 왜냐하면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아01. (주)책거리는 스승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거나 학생들의 노력을 인정하는 행사이다. 책거리가 스승님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것이라면 간단한 음식과 술을 마련할 것이다. 책거리가 학생들의 노력을 인정하는 행사라면 간단한 음식과 술을 마련할 것이다. 따라서

아02. (주)세이렌은 바다의 요정이거나 노래로 뱃사람을 유혹하여 죽인다. 세이렌이 바다의 요정이라면 세이렌은 오디세우스를 유혹했을 것이다. 세이렌이 노래로 뱃사람을 유혹하여 죽인다면 세이렌은 오디세우스를 유혹했을 것이다. 오디세우스가 세이렌의 유혹에 넘어갔다면 세이렌의 섬을 지나갈 수 없었을 것이다.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의 섬을 지나갈 수 있었다. 따라서

아03. (주)캡사이신은 고추에 들어있는 화학 물질이고 매운 맛을 낸다. 캡사이신이 매운 맛을 낸다는 것은 거짓이 아니거나 캡사이신은 진통 효과가 있다. 캡사이신이 매운 맛을 낸다면 캡사이신으로 인해 몸이 엔돌핀을 방출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캡사이신은 고추에 들어있는 화학물질이고 캡사이신으로 인해 몸이 엔돌핀을 방출한다. 왜냐하면

아04. (수)무언가에 의존해야 행복한 사람이라면 자신이 의존한 것이 없을 때 불행하다. 자신이 의존한 것이 없을 때 불행하다면 쉽게 인생이 불행해진다. 강수는 쉽게 인생이 불행해지지 않았다. 강수는 무언가에 의존해야 행복한 사람이거나 독립적인 사람이다. 강수가 독립적인 사람이라면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따라서 (강수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

아05. (수) 고흐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이거나 가장 강렬한 스토리를 가진 화가이다. 고흐가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라면 그는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 고흐가 가장 강렬한 스토리를 가진 화가라면 그는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 고흐가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면 그의 작품들을 높은 가치를 지닐 것이다. 고흐가 동생의 지원을 받지 않았다면 고흐는 화가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고흐가 화가가 될 수 없었다면 고흐의 작품들은 높은 가치를 지니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고흐는 동생의 지원을 받았다.)

아06. (수) 미우는 윤리적이거나 외모가 뛰어나다. 미우의 외모가 뛰어나다면 사람들의 사랑을 일시적으로 받을 것이다. 미우가 윤리적이라면 사람들의 사랑을 지속적으로 받을 것이다. 미우가 사람들의 사랑을 일시적으로 받는다면 미우는 안정적이지 못할 것이다. 미우가 사람들의 사랑을 지속적으로 받는다면 미우는 안정적일 것이다. 미우가 안정적이지 못하다면 미우는 잠을 잘 것이다. 미우가 안정적이라면 미우는 잠을 잘 것이다. 따라서 (미우는 잠을 잘 것이다.)

주어진 문장들과 낱말들을 남김 없이 써서 타당한 추론을 하나 만들어보세요.


자01.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거나 이면 이면 따라서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거나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가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라면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가 안견이 그린 그림이라면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자02.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다.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다. 한국은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은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이거나 이면 이면 이면 따라서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거나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이 승자독식 사회라면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이 약육강식 사회라면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만일 한국이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라면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따라서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