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디어들

Organ
Suminulture (토론 | 기여)님의 2013년 1월 7일 (월) 18:26 판
이동: 둘러보기, 검색

우리는 콘텐츠 공급 회사를 꿈꿉니다. 콘텐츠가 어떤 방식으로 유통될 수 있을까요?

동영상

crash course, yale courses,the great courses 등 참조 - 수민

잡지 매체

조중동이나 경향신문 기존 잡지 참조

교육 기업

교육으로서의 정체성 확립한다. 웅진, 대교, 메가스터디 등 참조 -수민

사고능력개발문제 제작

초벌번역의 개념으로 초벌 문제 제작

직강

캠프들 조사 -씨즈에서 하는 문화강의 등 기획해서 참여해보기 -가영

공공철학

공공미술,지자체와 연계하는 프로젝트, 지하철 광고, 폭스바겐 광고-음악소리나는 계단, 쓰레기 던지면 소리나서 쓰레기 치우게. -주연

e learning, serious game

주연 안드로이드, 수민 애플

팟캐스트

책 홍보하는 방향

포털에 콘텐츠 생산

전자책

주연 안드로이드, 수민 애플 시장조사

종이책 출판

다슬기

  • 우리가 최소한 얻을 수 있는 것.

교육이라고 생각하자! 앞으로 사업을 위해 유통구조파악 및 법인격부여 등 제도적 처리 및 책 출판에 필요한 요건. 출판시장에 대한 지식을 얻을 수 있다. -> 전자책 종이책 둘다 하자. 시간이 없으면 외주를 줘서라도 시장에 대한 파악을 해라.

  • 우리가 더 욕심을 내보면 좋은 것

수익을 내려고 노력은 해보자! 이번 한방으로 성공하기는 힘들 것이나 이런 시도들이 쌓여서 내공을 쌓게 해줄 것이다. 하지만 출판이 매력적인 점은 콘텐츠 기획력만 좋으면 누구나 대박이 가능한 벤쳐가 가능한 비즈니스이고 비용이 덜 드는 시스템을 현재 우리가 구축해내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에게만이 아닌 타자들에게도 의미있는 방식을 고민해보는 것만으로 더 좋다. 처음부터 우리끼리 가치있는 걸 하자고 이야기하지는 말자.

  • 다슬기로 수익을 낸다=우리에게 뿐만 아니라 사회에서도 가치를 가진다?!

우리에게만 의미있고 좋았던 다슬기가 사회에서 다른 사람들에게도 가치를 가져야 출판하는 것이 의미있을 것이다. 우리끼리 돌려볼 거면 제본만 떠도 좋다. 경영학 용어:수익을 낸다는 것=자기 중심성에서 벗어나 고객 지향적으로 상품을 만든다는 것을 말한다. 수요를 정확하게 파악하는 것. 고객의 니즈를 알아내는 것. 정말 그들에게 필요한 것을 만들어내는 것. 그러면 그 대가로 그들의 돈을 우리가 창출해낸 가치와 교환한다. ->우리말고 타자에게도 의미가 있는 방식을 고민해봐야한다.


  • 다슬기가 어떻게 다른 사람들에게도 의미를 가질 수 있을까?

다슬기는 나에게 내 삶의 여러 문제들에 대한 고민을 철학자들이 이렇게 이야기했다는 점을 배울 수 있어서 좋았다. 다른 사람들에게도 다슬기가 의미있으려면 제일 좋은 지점.. 그들이 정말 현실에서 하는 고민을 철학이 해답을 줄 수 있는 것..아닐까?

  • 수민의 아이디어

라디오 사연과 비슷한 형식으로 구성을 해보았다. 특정 독자가 삶의 고민을 이야기하면 이에 대한 인문학적 상담을 해주는 방식.

사람들의 내적 모순.. 근원적인 고민을 인문학적으로 상담한다. 사람들이 사주를 보며 자신의 현재 삶의 답답함을 풀려고 하는 욕구를 해소하는 것처럼. 사람들은 삶을 살아가면서 많은 사건들에 부딪히고 내적 모순에 시달리게 된다. 정말 그런 일을 겪은 대상을 위해 인문학적 편지를 쓴다는 마음으로 .. -> 표본을 뽑아낸다. 사람들이 제일 많이 하고 있을 삶의 고민에 대한 대답을 다슬기에서 찾아준다. // 단, 이게 가능하려면 우리의 철학적 내공이 대단해야. 공부 열심히 해! (예) 고르기아스 -> [정의]에 대한 통찰 니코마코스 윤리학-> [관계]에 대한 통찰

  • 과정에서 홍보하기!

생각실험실 홈페이지나 여러 홈페이지에서 지원자들을 실제로 받기.. 받는 과정에서 개인정보.. 컨택이 가능하게 해서 홍보가 가능하게... 과정에서도 소비자를 모아가면 좋을 것 같음.

  • to do

철학 상담을 신개척사업으로 정한다. 시장조사해오기. 공부 열심히 해나가면서 언제든지 아이디어가 떠오르도록 하기. 배움터로서의 역할 강화를 위해 토요일 인디자인 수강 후 2시간 정도 점심 먹으면서 각자 진로에 대한 이야기 및 지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시간(업무에 상관 없이) 법인격 더 고민해보기. 내가 바라는 생각실험실의 이상적인 공동체상은 무엇일까?

무료 강의 프로그램 제공

itunes u, podcast 등을 이용해 머리 좋아지는 법 등 매우 실용적인 제목으로 어떻게 하면 머리가 좋아질 수 있는지, 즉 왜 우리가 논리학을 해야하는지 등을 강의로 제공한다. 자기계발서 느낌이 물씬 나게 낚은 다음에 논리학을 실용적이라며 가르친다. 이를 통해 우리 말길 등을 자연스럽게 홍보한다. 영어 잘하는 방법을 언어학적으로 가르쳐 준 다음에 자신들의 교재가 그런 언어학적 방법에 따라 잘 만들어지고 구성되어있음을 설명하는 팟캐스트 강의를 듣고 영감을 얻었다.

논리강의사업

우리말길 제작

계절학기 전까지 강의로 쓸 수 있도록 대학교재를 제작해서 알라딘이나 수업에 유포시킨다. 강의의 교재에 쓰이도록 한다. 기부파티에 판다.

시험삼아 팔아본 것에서는 결제시스템, 유통구조가 갖춰져있지 않아 손익분기점을 겨우 넘겼으나 인건비도 안나왔다. 이 모든 것을 갖춰야 한다.


우리말길 워크북 제작

바인더로 묶어서 메일링서비스로 업데이트 해주는 콘텐츠로 요금제 상품을 만들어서 판다. 가급적 계절학기 전까지?

논리 어플 제작

스팀의 외주업체로서 가능성을 엿본다?

기부파티

기부금을 유치할 수 있는 장으로서의 파티를 연다.

조교일

수금

생각공장 회의 정리

결제시스템

기프티콘 이용하기

소식지

생실 소식을 정기적으로 알리는 메일

SNS

끊임없이 읽고 댓글달고 그러면서 관계를 구축해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