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카르트의 성찰
데카르트의 성찰
1641년 라틴어 초판 제목: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여기서 신의 현존 및 인간 영혼의 불명성을 증명한다. 1642년 라틴어 2판 제목: 제일철학에 관한 성찰. 여기서 신의 현존 및 인간 영혼과 신체의 상이성을 증명한다.
소르본의 신학자들에게 바치는 헌사 요약
하느님과 영혼이라는 두 주제는 신학의 도움보다는 철학의 도움으로 논증되어야 한다고 늘 생각하고 있습니다. 신학자들도 자연 이성을 통해 하느님이 저기 계시다는 것을 증명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있음을 저도 알고 있습니다. 하느님에 대해 알 수 있는 모든 것은 오직 우리 자신의 마음에 있는 이성활동을 통해서만 밝혀질 수 있습니다. 하느님이 바깥에 계신다는 것, 사람의 영혼이 몸과 아예 다르다는 것을 [철학적으로 논증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나는 단지 가장 우선하면서 가장 중요한 논증만을 취하여 이를 발전시켜, 감히 매우 확실하고 분명한 논증을 제안할 수 있었습니다. 비록 내가 여기서 사용한 논증은, 내 생각에, 설사 기하학의 논증보다 더 낫지 않더라 하더라도, 그것만큼 확실하고 분명합니다. 하지만 많은 사람들이 이 논증을 충분히 이해하지 못할 것 같아 걱정입니다. 이는 내 논증들이 다소 길고 일부 논증은 서로 얽혀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무엇보다 내 논증들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선입견으로부터 아예 벗어난 마음이, 감각들의 구속을 쉽게 떨쳐낼 수 있는 마음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내 논증을 차근차근 따져본다면,] 마침내 하느님의 실존을 의심하거나, 사람의 영혼과 몸의 진정한 구별을 의심하는 사람은 세상에 단 한 사람도 남지 않을 것입니다.
독자를 위한 서문 요약
사람의 마음은, 자기 자신을 되돌아볼 때, 자신이 생각하는 사물 이외에 다른 것이라고는 인식하지 않는다. 이 사실로부터 마음의 본성 또는 본모습은 오직 생각하는 사물이라는 점이 따라 나오지 않는다고 [일부 독자들은 반론할지 모르겠다. 그들은 마음이 생각함 이외에 다른 본성을 가질 수도 있다고 주장할 것이다. 하지만 내가 하고자 했던 말은] 내 본모습에 속한다고 내가 알고 있는 것은, 오직 나는 생각하는 사물이라는 사실, 또는 내 안에 생각하는 능력을 갖고 있는 사물이라는 사실뿐이며, 나는 그 이외 다른 것을 전혀 알지 못한다는 것이다. [제2성찰에서는] 다른 어떤 것도 내 본모습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내가 알고 있다는 사실로부터 그 어떤 다른 것도 사실상 내 본모습에 속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줄 것이다.
나는 나보다 더 완전한 사물에 대한 관념을 내 안에 갖고 있다. 이 사실로부터 그 관념 자체가 나보다 더 완전하다는 것이 따라 나오지 않는다고, 더구나 그 관념이 표상해주는 것이 저기 바깥에 존재한다는 것이 따라 나오지 않는다고 [일부 독자들은 반론할지 모르겠다.] 나는 "관념"이라는 낱말에 두 가지 뜻이 있다고 답하고자 한다. "관념"은 [지성의] 재료와 관계된 것으로, 즉 지성의 작용을 뜻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이 경우에 [나보다 더 완전한 사물에 대한 관념을 포함하여] 관념이 나보다 더 완전하다고 말해서는 안 된다. 이와 달리 "관념"은 [지성의] 대상과 관계된 것으로서, 즉 앞의 지성 작용을 통해 표상된 사물을 뜻하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다. 설사 우리가 지성 작용을 통해 표상된 그 사물이 지성 바깥에 존재한다고 가정하지 않는다 하더라도, 그 자신의 본질 때문에, 그것은 나 자신보다 더 완전할 수 있다. [제3성찰에서는] 나보다 더 완전한 어떤 사물에 대한 관념이 내 안에 있다는 사실은 이 사물이 실제로 바깥에 존재한다는 것을 함축한다는 것을 충분히 설명할 것이다.
Elizabeth S. Haldane의 영어 번역
The first objection is that it does not follow from the fact that the human mind reflecting on itself does not perceive itself to be other than a thing that thinks, that its nature or its essence consists only in its being a thing that thinks, in the sense that this word only excludes all other things which might also be supposed to pertain to the nature of the soul. To this objection I reply that it was not my intention in that place to exclude these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that looks to the truth of the matter (as to which I was not then dealing), but only in accordance with the order of my thought [perception]; thus my meaning was that so far as I was aware, I knew nothing clearly as belonging to my essence, excepting that I was a thing that thinks, or a thing that has in itself the faculty of thinking. But I shall show hereafter how from the fact that I know no other thing which pertains to my essence, it follows that there is no other thing which really does belong to it.
The second objection is that it does not follow from the fact that I have in myself the idea of something more perfect than I am, that this idea is more perfect than I, and much less that what is represented by this idea exists. But I reply that in this term idea there is here something equivocal, for it may either be taken materially, as an act of my understanding, and in this sense it cannot be said that it is more perfect than I; or it may be taken objectively, as the thing which is represented by this act, which, although we do not suppose it to exist outside of my understanding, may, none the less, be more perfect than I, because of its essence. And in following out this Treatise I shall show more fully how, from the sole fact that I have in myself the idea of a thing more perfect than myself, it follows that this thing truly exi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