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나저러나 익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Organ
이동: 둘러보기, 검색
잔글
잔글 ()
55번째 줄: 55번째 줄:
  
  
바03. (주�. 전제 5개)
+
바03. (. 전제 5개)
  
  
65번째 줄: 65번째 줄:
  
 
바06. (수: 전제 6개 이상)
 
바06. (수: 전제 6개 이상)
 
 
  
 
===사===
 
===사===

2012년 8월 10일 (금) 21:19 판


다음 추론이 이러나저러나를 바르게 쓴 추론이면 “바”라고 쓰고 잘못 쓴 추론이면 “못”이라고 쓰세요.

다01. (주)

다02. (수)

다03. (수)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본보기: 대한민국 검찰은 부패했거나 조직의 안전을 우선시한다. 만일 대한민국 검찰이 부패했다면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만일 대한민국 검찰이 조직의 안전을 우선시한다면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따라서 답: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라01. (주)

라02. (수)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 이러나저러나를 완성한 뒤, 세 전제들 중 하나를 왜냐하면으로 돌리세요.


마01. (주)


마02. (주)


마03. (수)


마04. (수)


다음 추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 보세요.

  •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풀어야 하는 다양한 문제를 만들어 보세요.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러나저러나 등을 써야 하는 것이면 더 좋아요.


바01. (주. 전제 4개)


바02. (수. 전제 4개)


바03. (주. 전제 5개)


바04. (수. 전제 5개)


바05. (주. 전제 5개 이상)


바06. (수: 전제 6개 이상)

다음 추론의 결론을 기본 추론규칙과 뒤로 이면 없애기 따위를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낼 수 있으면 “수”라 쓰고 이끌어낼 수 없으면 “못”이라고 쓰세요.

  • 거짓이다 없애기,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넣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면 잇기, 이러나저러나를 모두 쓸 필요는 없고, 이 가운데 일부를 쓴 추론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타당할 필요는 없고, 타당한지 부당한지 헷갈릴 수 있는 문제를 만드세요.

사01. (주)

사02. (주)

사03. (주)

사04. (주)

사05. (수)

사06. (수)

사07. (수)

사08. (수)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나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빈 칸에 들어갈 전제와 결론은 될 수 있는 한 단순해야 합니다.

  • "바" 문제에서 만들 만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결론을 지워 따라서 문제를 만들거나, 전제들 중 하나를 지워 왜냐하면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아01. (주)

아02. (주)

아03. (주)

아04. (수)

아05. (수)

아06. (수)

주어진 문장들과 낱말들을 남김 없이 써서 타당한 추론을 하나 만들어보세요.


  • 이러나저러나를 사용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논리 레고를 만들면 됩니다. 가급적 문장을 짧게 만드세요.

자01. (주)


자02. (수)


자03.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