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나저러나 익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Suminulture (토론 | 기여) (ㅎ¥¥) |
잔글 (→아) |
||
(사용자 2명의 중간 판 20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다음 추론이 이러나저러나를 바르게 쓴 추론이면 “바”라고 쓰고 잘못 쓴 추론이면 “못”이라고 쓰세요.''' | '''다음 추론이 이러나저러나를 바르게 쓴 추론이면 “바”라고 쓰고 잘못 쓴 추론이면 “못”이라고 쓰세요.''' | ||
− | |||
− | + | 다01. 〈 〉 지아는 동물 실험에 반대하거나 육식주의를 반대한다. 지아가 동물 실험에 반대한다면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지아가 육식주의를 반대한다면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 |
− | 다03. | + | |
+ | |||
+ | |||
+ | 다02. 〈 〉 발레는 대사 없는 극무용이거나 무언극이다. 발레에 배경음악이 중요하다면 발레는 대사 없는 극무용이다. 발레에 배경음악이 중요하다면 발레는 무언극이다. 따라서 발레에는 배경음악이 중요하다. | ||
+ | |||
+ | |||
+ | |||
+ | |||
+ | 다03. 〈 〉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은 새로운 기능을 첨가하고 디자인을 보완할 것이다.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이 새로운 기능을 첨가한다면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이 디자인을 보완한다면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따라서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 ||
===라=== | ===라=== | ||
18번째 줄: | 25번째 줄: | ||
답: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 답: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 ||
− | |||
− | 라02. | + | 라01. 젊은 세대는 대체로 현실 정치에 관심이 없거나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다. 젊은 세대가 대체로 현실 정치에 관심이 없다면 우리나라는 늙은이의 세계관에 따라 점차 쇄락해갈 것이다. 젊은 세대가 대체로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면 우리나라는 늙은이의 세계관에 따라 점차 쇄락해갈 것이다. 따라서 |
+ | |||
+ | 라02. 별자리가 유목민의 여정에 기원을 두고 있다면 별자리는 실용적 목적을 지녔을 것이다. 별자리가 고대 문명의 천문관측에 기원을 두고 있다면 별자리는 실용적 목적을 지녔을 것이다. 별자리는 유목민의 여정에 기원을 두고 있거나 고대 문명의 천문관측에 기원을 두고 있다. 따라서 | ||
+ | |||
+ | 라03. 만일 우리 인식이 대체로 틀리지 않다면, 아무도 세계를 인식하지 않아도 세계는 여전히 실재할 것이다. 만일 오류 개념이 오직 바깥 세계에 근거해서만 성립한다면, 아무도 세계를 인식하지 않아도 세계는 여전히 실재할 것이다. 우리 인식은 대체로 틀리지 않았거나 오류 개념은 오직 바깥 세계에 근거해서만 성립한다. 따라서 | ||
===마=== | ===마=== | ||
29번째 줄: | 39번째 줄: | ||
− | |||
+ | 마01. 시나위는 악보 없이 연주하는 곡이거나 정형화되지 않은 기악곡이다. 시나위가 악보 없이 연주하는 곡이라면 연주자는 시나위를 즉흥적으로 연주해야 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시나위를 즉흥적으로 연주해야 한다. 왜냐하면 | ||
− | 마02. | + | 마02. 빅 브라더가 정보를 독점한다면 사회는 그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빅 브라더가 모든 것을 감시한다면 사회는 그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는 빅 브라더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왜냐하면 |
+ | 마03. 예술의 정의는 모호하거나 시대에 걸쳐 진화한다. 예술의 정의가 모호하다면 우리는 예술의 정의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예술의 정의를 알기 어렵다. 왜냐하면 | ||
− | + | 마04. 우리가 다양한 시각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우리가 합당한 비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면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왜냐하면 | |
− | |||
− | |||
− | |||
===바=== | ===바=== | ||
46번째 줄: | 54번째 줄: | ||
− | 바01. | + | 바01. 은은 금속이거나 고체이다. 은이 금속이라면 은은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정하다. 은이 고체라면 은은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정하다. 은이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전하다면, 은은 화폐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은은 화폐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
+ | |||
+ | 바02. 지나는 검소하거나 성실하다. 지나가 성실하다면 지나는 점차 행복해질 것이다. 지나가 검소하다면 지나는 자기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지나가 자기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다면 지나는 점차 행복해질 것이다. 지나가 점차 행복해진다면 지나는 더 이상 자살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지나는 더 이상 자살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 ||
+ | |||
+ | 바03. 백설이 질투심에 사로잡혀 있다면 백설은 행복하지 않다. 백설은 난쟁이와 계속 살거나 왕자를 만난다. 백설이 난쟁이와 계속 산다면 백설은 난쟁이와 결혼한다. 백설이 왕자를 만난다면 백설은 왕자와 결혼한다. 백설이 난쟁이와 결혼한다면 백설은 행복하다. 백설이 왕자와 결혼한다면 백설은 행복하다. 따라서 백설은 질투심에 사로잡혀 있지 않다. | ||
+ | |||
+ | 바04. 보툴리눔 독소가 보톡스의 주원료라면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가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가 근육을 마비시킨다면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보툴리눔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는 보톡스의 주원료이거나 근육을 마비시킨다. 따라서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 ||
+ | |||
+ | 바05. 팥쥐가 착했다면 팥쥐는 콩쥐를 도왔을 것이다. 팥쥐는 콩쥐를 돕지 않았고 잔치에 놀러갔다. 팥쥐는 잔치에 놀러가지 않았거나 콩쥐는 밑빠진 독에 물을 채워 넣었다. 콩쥐가 밑빠진 독에 물을 채워 넣었다면 두꺼비는 콩쥐를 도왔다. 콩쥐가 착하지 않았다면 두꺼비는 콩쥐를 돕지 않았다. 따라서 콩쥐는 착하지만 팥쥐는 착하지 않다. | ||
+ | |||
+ | ===사=== | ||
+ | '''다음 추론의 결론을 기본 추론규칙과 뒤로 이면 없애기 따위를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낼 수 있으면 “수”라 쓰고 이끌어낼 수 없으면 “못”이라고 쓰세요.''' | ||
+ | |||
+ | * 거짓이다 없애기,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넣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면 잇기, 이러나저러나를 모두 쓸 필요는 없고, 이 가운데 일부를 쓴 추론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타당할 필요는 없고, 타당한지 부당한지 헷갈릴 수 있는 문제를 만드세요. | ||
+ | |||
+ | 사01. 우리는 타자를 환대하거나 배려한다. 우리가 타자를 환대한다면 우리는 착한 사람이다. 우리가 타자를 배려한다면 우리는 약자에게 상처주지 않는다. 우리가 약자에게 상처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착한 사람이다. 우리는 착하지 않거나 평등하다. 우리에게 환대받을 권리가 없다면 우리는 평등하지 않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환대받을 권리가 있다. | ||
+ | 답: 수 | ||
− | |||
+ | 사02. 모네는 정원사였거나 직접 정원을 가꾸었다. 모네가 직접 정원을 가꾸었다면 자기 정원을 그림으로 남겼을 것이다. 모네가 자기 정원을 그림으로 남겼다면 우리는 그림을 통해 모네의 정원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모네는 인상파 화가이거나 정원사가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림을 통해 모네의 정원을 볼 수 있을 것이다. | ||
− | + | 답: 못 | |
− | + | 사03. 지렁이는 흙 속의 유기물을 먹고 똥을 배설하는데 지렁이 똥은 좋은 거름이 된다. 지렁이가 흙 속을 돌아다닌다면 지렁이는 흙 안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일도 한다. 지렁이는 흙 안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일을 한다면 지렁이는 흙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지렁이는 흙에 큰 도움이 된다. | |
+ | 답: 못 | ||
− | |||
+ | 사04. 견과류는 포만감을 주거나 불포화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견과류가 포만감을 준다면 과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견과류가 과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견과류는 건강에 좋다. 견과류가 불포화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면 견과류는 건강에 좋다. 따라서 견과류는 과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고 건강에 좋다. | ||
− | + | 답: 못 | |
− | |||
− | |||
− | + | 사05. 나미가 머리를 검정으로 염색한다면 다시 갈색으로 염색하기 어렵다. 나미는 머리를 검정으로 염색했거나 초록으로 염색했다. 나미가 초록으로 염색한다면 머리카락 색깔로 주위 시선을 끌었을 것이다. 나미는 머리카락 색깔로 주위 시선을 끌지 못했다. 따라서 나미는 다시 갈색으로 염색하기 어렵거나 머리를 매우 짧게 잘랐다. | |
+ | |||
+ | 답: 수 | ||
+ | |||
− | + | 사06. 우리나라에서는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거나 언론이 사건을 공정하게 다루지 않는다. 우리나라 시민은 생각하는 시민이거나 정의를 추구하는 시민이다. 우리나라 시민이 생각하는 시민이라면 언론이 사건을 공정하게 다룰 것이다. 우리나라 시민이 생각하는 시민이라면 우리나라에 표현의 자유가 보장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시민은 정의를 추구하는 시민이 아니다. | |
− | + | 답: 못 | |
− | |||
− | + | 사07. 보툴리눔 독소가 보톡스의 주원료라면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가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가 근육을 마비시킨다면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보툴리눔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는 보톡스의 주원료이거나 근육을 마비시킨다. 따라서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 |
− | + | 답: 수 | |
− | |||
− | + | 사08. 유나는 일기를 쓰거나 일기를 쓰지 않는다. 유나가 일기를 쓰지 않는다면 자기 행동을 깊이 반성할 시간을 갖지 못한다. 유나가 일기를 쓴다면 자기 행동을 깊이 반성할 시간을 갖게 된다. 유나가 자기 행동을 깊이 반성할 시간을 갖게 된다면 자기 생활 양식을 점차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유나가 자기 생활 양식을 점차 개선할 수 있다면 유나는 이전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따라서 유나는 이전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수 있다. | |
− | + | 답: 못 | |
===아=== | ===아=== | ||
88번째 줄: | 112번째 줄: | ||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나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빈 칸에 들어갈 전제와 결론은 될 수 있는 한 단순해야 합니다.''' |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나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빈 칸에 들어갈 전제와 결론은 될 수 있는 한 단순해야 합니다.''' | ||
− | |||
− | |||
− | 아02. | + | 아01. 책거리가 스승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것이라면 이번 책거리 때 간단한 음식을 마련할 것이다. 책거리가 학생들의 노력을 인정하는 행사라면 이번 책거리 때 간단한 음식을 마련할 것이다. 책거리는 스승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거나 학생들의 노력을 인정하는 행사이다. 이번 책거리 때 간단한 음식을 마련한다면 희순은 가벼운 술도 함께 준비할 것이다. 따라서 |
+ | |||
+ | 답: 이번 책거리 때 희순은 가벼운 술도 함께 준비할 것이다. | ||
+ | |||
+ | |||
+ | 아02. 세이렌은 바다의 요정이거나 뱃사람을 유혹하여 죽인다. 세이렌이 바다의 요정이라면 세이렌은 오디세우스를 유혹했을 것이다. 세이렌이 뱃사람을 유혹하여 죽인다면 세이렌은 오디세우스를 유혹했을 것이다. 오디세우스가 세이렌의 유혹에 넘어갔다면 세이렌의 섬을 지나갈 수 없었다.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의 섬을 지나갈 수 있었다. 따라서 | ||
+ | |||
+ | 답: 세이렌은 오디세우스를 유혹했지만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았다. | ||
+ | |||
+ | |||
+ | 아03. 캡사이신은 고추에 들어 있는 화학 물질이고 매운 맛을 낸다. 캡사이신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면 떡볶이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캡사이신이 매운 맛을 낸다면 이것은 엔돌핀 방출을 촉진한다. 캡사이신이 진통 효과가 있고 엔돌핀 방출을 촉진한다면 이것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캡사이신이 매운 맛을 낸다는 것은 거짓이거나 진통 효과가 있다. 따라서 | ||
+ | |||
+ | 답: 떡볶이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 ||
+ | |||
+ | |||
+ | 아04. 고흐가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라면 그는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 고흐가 가장 강렬한 이야기를 가진 화가라면 그는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 고흐가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면 그의 작품은 높은 가치를 지닐 것이다. 고흐가 인간 삶의 심연을 깊이 성찰하지 않았다면 고흐는 위대한 화가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고흐가 위대한 화가가 될 수 없었다면 고흐의 작품은 높은 가치를 지니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고흐는 인간 삶의 심연을 깊이 성찰했다. 왜냐하면 | ||
+ | |||
+ | 답: 고흐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이거나 가장 강렬한 이야기를 가진 화가이기 때문이다. | ||
+ | |||
+ | |||
+ | 아05. 미우는 내면이 뛰어나거나 외모가 뛰어나다. 미우가 외모가 뛰어나다면 많은 사람들이 잠깐만이라도 그를 좋아해줄 것이다. 미우가 내면이 뛰어나다면 적은 사람들이라도 그를 깊이 사랑해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잠깐만이라도 미우를 좋아해준다면 미우는 편안한 마음으로 잠을 잘 수 있다. 따라서 미우는 편안한 마음으로 잠을 잘 수 있다. 왜냐하면 | ||
− | + | 답: 적은 사람들이라도 미우를 깊이 사랑해준다면 미우는 편안한 마음으로 잠을 잘 수 있기 때문이다. | |
− | |||
− | + | 아06. 강수가 행복에 대해 철학적으로 깊이 성찰한다면 강수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느낄 것이다. 강수가 돈의 많고 적음에 따라 행복을 측정하는 사람이라면 강수는 가진 돈이 줄어들 때 불행해진다. 강수가 가진 돈이 줄어들 때 불행해진다면 강수는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평생 노심초사해야 한다. 강수가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평생 노심초사해야 한다면 강수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강수가 돈의 많고 적음에 따라 행복을 측정하는 사람이거나 권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행복을 측정하는 사람이다. 강수가 권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행복을 측정하는 사람이라면 강수는 가진 권력이 없어질 때 불행해진다. 강수가 가진 권력이 없어질 때 불행해진다면 강수는 더 높은 권력을 얻기 위해 평생 노심초사해야 한다. 강수가 더 높은 권력을 얻기 위해 평생 노심초사해야 한다면 강수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 |
− | + | 답: 강수는 행복에 대해 철학적으로 깊이 성찰하지 않았다. | |
===자=== | ===자=== | ||
107번째 줄: | 148번째 줄: | ||
− | + | 자01.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거나 이면 이면 따라서 | |
− | + |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거나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가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라면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가 안견이 그린 그림이라면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 |
− | |||
+ | 자02.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다.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다. 한국은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은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이거나 이면 이면 이면 따라서 | ||
− | + |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거나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이 승자독식 사회라면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이 약육강식 사회라면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만일 한국이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라면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따라서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
2012년 8월 16일 (목) 17:11 기준 최신판
- 오늘 공동작업으로 돌아가기
다[편집]
다음 추론이 이러나저러나를 바르게 쓴 추론이면 “바”라고 쓰고 잘못 쓴 추론이면 “못”이라고 쓰세요.
다01. 〈 〉 지아는 동물 실험에 반대하거나 육식주의를 반대한다. 지아가 동물 실험에 반대한다면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지아가 육식주의를 반대한다면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따라서 지아는 동물 권리를 인정하고 있다.
다02. 〈 〉 발레는 대사 없는 극무용이거나 무언극이다. 발레에 배경음악이 중요하다면 발레는 대사 없는 극무용이다. 발레에 배경음악이 중요하다면 발레는 무언극이다. 따라서 발레에는 배경음악이 중요하다.
다03. 〈 〉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은 새로운 기능을 첨가하고 디자인을 보완할 것이다.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이 새로운 기능을 첨가한다면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내년에 출시될 지엘의 스마트폰이 디자인을 보완한다면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따라서 지엘의 단말기 점유율은 점차 회복될 것이다.
라[편집]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본보기: 대한민국 검찰은 부패했거나 조직의 안전을 우선시한다. 만일 대한민국 검찰이 부패했다면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만일 대한민국 검찰이 조직의 안전을 우선시한다면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따라서
답: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라01. 젊은 세대는 대체로 현실 정치에 관심이 없거나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다. 젊은 세대가 대체로 현실 정치에 관심이 없다면 우리나라는 늙은이의 세계관에 따라 점차 쇄락해갈 것이다. 젊은 세대가 대체로 투표에 참여하지 않는면 우리나라는 늙은이의 세계관에 따라 점차 쇄락해갈 것이다. 따라서
라02. 별자리가 유목민의 여정에 기원을 두고 있다면 별자리는 실용적 목적을 지녔을 것이다. 별자리가 고대 문명의 천문관측에 기원을 두고 있다면 별자리는 실용적 목적을 지녔을 것이다. 별자리는 유목민의 여정에 기원을 두고 있거나 고대 문명의 천문관측에 기원을 두고 있다. 따라서
라03. 만일 우리 인식이 대체로 틀리지 않다면, 아무도 세계를 인식하지 않아도 세계는 여전히 실재할 것이다. 만일 오류 개념이 오직 바깥 세계에 근거해서만 성립한다면, 아무도 세계를 인식하지 않아도 세계는 여전히 실재할 것이다. 우리 인식은 대체로 틀리지 않았거나 오류 개념은 오직 바깥 세계에 근거해서만 성립한다. 따라서
마[편집]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 이러나저러나를 완성한 뒤, 세 전제들 중 하나를 왜냐하면으로 돌리세요.
마01. 시나위는 악보 없이 연주하는 곡이거나 정형화되지 않은 기악곡이다. 시나위가 악보 없이 연주하는 곡이라면 연주자는 시나위를 즉흥적으로 연주해야 한다. 따라서 연주자는 시나위를 즉흥적으로 연주해야 한다. 왜냐하면
마02. 빅 브라더가 정보를 독점한다면 사회는 그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빅 브라더가 모든 것을 감시한다면 사회는 그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따라서 사회는 빅 브라더에게 통제당할 것이다. 왜냐하면
마03. 예술의 정의는 모호하거나 시대에 걸쳐 진화한다. 예술의 정의가 모호하다면 우리는 예술의 정의를 알기 어렵다. 따라서 우리는 예술의 정의를 알기 어렵다. 왜냐하면
마04. 우리가 다양한 시각을 가진 사람들의 의견을 비판적으로 평가할 수 있다면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우리가 합당한 비판을 적극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면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반성적 평형에 도달할 수 있다. 왜냐하면
바[편집]
다음 추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 보세요.
-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풀어야 하는 다양한 문제를 만들어 보세요.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러나저러나 등을 써야 하는 것이면 더 좋아요.
바01. 은은 금속이거나 고체이다. 은이 금속이라면 은은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정하다. 은이 고체라면 은은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정하다. 은이 물과 공기 속에서 안전하다면, 은은 화폐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따라서 은은 화폐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바02. 지나는 검소하거나 성실하다. 지나가 성실하다면 지나는 점차 행복해질 것이다. 지나가 검소하다면 지나는 자기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을 것이다. 지나가 자기 자신에게 부끄럽지 않다면 지나는 점차 행복해질 것이다. 지나가 점차 행복해진다면 지나는 더 이상 자살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지나는 더 이상 자살을 시도하지 않을 것이다.
바03. 백설이 질투심에 사로잡혀 있다면 백설은 행복하지 않다. 백설은 난쟁이와 계속 살거나 왕자를 만난다. 백설이 난쟁이와 계속 산다면 백설은 난쟁이와 결혼한다. 백설이 왕자를 만난다면 백설은 왕자와 결혼한다. 백설이 난쟁이와 결혼한다면 백설은 행복하다. 백설이 왕자와 결혼한다면 백설은 행복하다. 따라서 백설은 질투심에 사로잡혀 있지 않다.
바04. 보툴리눔 독소가 보톡스의 주원료라면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가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가 근육을 마비시킨다면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보툴리눔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는 보톡스의 주원료이거나 근육을 마비시킨다. 따라서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바05. 팥쥐가 착했다면 팥쥐는 콩쥐를 도왔을 것이다. 팥쥐는 콩쥐를 돕지 않았고 잔치에 놀러갔다. 팥쥐는 잔치에 놀러가지 않았거나 콩쥐는 밑빠진 독에 물을 채워 넣었다. 콩쥐가 밑빠진 독에 물을 채워 넣었다면 두꺼비는 콩쥐를 도왔다. 콩쥐가 착하지 않았다면 두꺼비는 콩쥐를 돕지 않았다. 따라서 콩쥐는 착하지만 팥쥐는 착하지 않다.
사[편집]
다음 추론의 결론을 기본 추론규칙과 뒤로 이면 없애기 따위를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낼 수 있으면 “수”라 쓰고 이끌어낼 수 없으면 “못”이라고 쓰세요.
- 거짓이다 없애기,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넣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면 잇기, 이러나저러나를 모두 쓸 필요는 없고, 이 가운데 일부를 쓴 추론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타당할 필요는 없고, 타당한지 부당한지 헷갈릴 수 있는 문제를 만드세요.
사01. 우리는 타자를 환대하거나 배려한다. 우리가 타자를 환대한다면 우리는 착한 사람이다. 우리가 타자를 배려한다면 우리는 약자에게 상처주지 않는다. 우리가 약자에게 상처주지 않는다면 우리는 착한 사람이다. 우리는 착하지 않거나 평등하다. 우리에게 환대받을 권리가 없다면 우리는 평등하지 않다. 따라서 우리에게는 환대받을 권리가 있다.
답: 수
사02. 모네는 정원사였거나 직접 정원을 가꾸었다. 모네가 직접 정원을 가꾸었다면 자기 정원을 그림으로 남겼을 것이다. 모네가 자기 정원을 그림으로 남겼다면 우리는 그림을 통해 모네의 정원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모네는 인상파 화가이거나 정원사가 아니다. 따라서 우리는 그림을 통해 모네의 정원을 볼 수 있을 것이다.
답: 못
사03. 지렁이는 흙 속의 유기물을 먹고 똥을 배설하는데 지렁이 똥은 좋은 거름이 된다. 지렁이가 흙 속을 돌아다닌다면 지렁이는 흙 안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일도 한다. 지렁이는 흙 안에 공기를 흐르게 하는 일을 한다면 지렁이는 흙에 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지렁이는 흙에 큰 도움이 된다.
답: 못
사04. 견과류는 포만감을 주거나 불포화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 견과류가 포만감을 준다면 과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 견과류가 과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된다면 견과류는 건강에 좋다. 견과류가 불포화 지방을 함유하고 있다면 견과류는 건강에 좋다. 따라서 견과류는 과식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되고 건강에 좋다.
답: 못
사05. 나미가 머리를 검정으로 염색한다면 다시 갈색으로 염색하기 어렵다. 나미는 머리를 검정으로 염색했거나 초록으로 염색했다. 나미가 초록으로 염색한다면 머리카락 색깔로 주위 시선을 끌었을 것이다. 나미는 머리카락 색깔로 주위 시선을 끌지 못했다. 따라서 나미는 다시 갈색으로 염색하기 어렵거나 머리를 매우 짧게 잘랐다.
답: 수
사06. 우리나라에서는 표현의 자유가 보장되지 않거나 언론이 사건을 공정하게 다루지 않는다. 우리나라 시민은 생각하는 시민이거나 정의를 추구하는 시민이다. 우리나라 시민이 생각하는 시민이라면 언론이 사건을 공정하게 다룰 것이다. 우리나라 시민이 생각하는 시민이라면 우리나라에 표현의 자유가 보장될 것이다. 따라서 우리나라 시민은 정의를 추구하는 시민이 아니다.
답: 못
사07. 보툴리눔 독소가 보톡스의 주원료라면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 보툴리눔 독소가 사시와 눈커풀 경련을 치료할 수 있다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가 근육을 마비시킨다면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다. 보툴리눔 단기적인 잔주름 개선에 효과적이라면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보툴리눔 독소는 보톡스의 주원료이거나 근육을 마비시킨다. 따라서 보툴리눔 독소는 원래 독이었던 것이 약이 된 사례이다.
답: 수
사08. 유나는 일기를 쓰거나 일기를 쓰지 않는다. 유나가 일기를 쓰지 않는다면 자기 행동을 깊이 반성할 시간을 갖지 못한다. 유나가 일기를 쓴다면 자기 행동을 깊이 반성할 시간을 갖게 된다. 유나가 자기 행동을 깊이 반성할 시간을 갖게 된다면 자기 생활 양식을 점차 개선할 수 있을 것이다. 유나가 자기 생활 양식을 점차 개선할 수 있다면 유나는 이전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따라서 유나는 이전보다 더 건강한 삶을 살수 있다.
답: 못
아[편집]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나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빈 칸에 들어갈 전제와 결론은 될 수 있는 한 단순해야 합니다.
아01. 책거리가 스승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는 것이라면 이번 책거리 때 간단한 음식을 마련할 것이다. 책거리가 학생들의 노력을 인정하는 행사라면 이번 책거리 때 간단한 음식을 마련할 것이다. 책거리는 스승께 감사의 마음을 전하거나 학생들의 노력을 인정하는 행사이다. 이번 책거리 때 간단한 음식을 마련한다면 희순은 가벼운 술도 함께 준비할 것이다. 따라서
답: 이번 책거리 때 희순은 가벼운 술도 함께 준비할 것이다.
아02. 세이렌은 바다의 요정이거나 뱃사람을 유혹하여 죽인다. 세이렌이 바다의 요정이라면 세이렌은 오디세우스를 유혹했을 것이다. 세이렌이 뱃사람을 유혹하여 죽인다면 세이렌은 오디세우스를 유혹했을 것이다. 오디세우스가 세이렌의 유혹에 넘어갔다면 세이렌의 섬을 지나갈 수 없었다.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의 섬을 지나갈 수 있었다. 따라서
답: 세이렌은 오디세우스를 유혹했지만 오디세우스는 세이렌의 유혹에 넘어가지 않았다.
아03. 캡사이신은 고추에 들어 있는 화학 물질이고 매운 맛을 낸다. 캡사이신이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면 떡볶이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캡사이신이 매운 맛을 낸다면 이것은 엔돌핀 방출을 촉진한다. 캡사이신이 진통 효과가 있고 엔돌핀 방출을 촉진한다면 이것은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캡사이신이 매운 맛을 낸다는 것은 거짓이거나 진통 효과가 있다. 따라서
답: 떡볶이는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이 된다.
아04. 고흐가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라면 그는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 고흐가 가장 강렬한 이야기를 가진 화가라면 그는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 고흐가 대중의 사랑을 받는다면 그의 작품은 높은 가치를 지닐 것이다. 고흐가 인간 삶의 심연을 깊이 성찰하지 않았다면 고흐는 위대한 화가가 될 수 없을 것이다. 고흐가 위대한 화가가 될 수 없었다면 고흐의 작품은 높은 가치를 지니지 않았을 것이다. 따라서 고흐는 인간 삶의 심연을 깊이 성찰했다. 왜냐하면
답: 고흐는 역사상 가장 위대한 화가이거나 가장 강렬한 이야기를 가진 화가이기 때문이다.
아05. 미우는 내면이 뛰어나거나 외모가 뛰어나다. 미우가 외모가 뛰어나다면 많은 사람들이 잠깐만이라도 그를 좋아해줄 것이다. 미우가 내면이 뛰어나다면 적은 사람들이라도 그를 깊이 사랑해줄 것이다. 많은 사람들이 잠깐만이라도 미우를 좋아해준다면 미우는 편안한 마음으로 잠을 잘 수 있다. 따라서 미우는 편안한 마음으로 잠을 잘 수 있다. 왜냐하면
답: 적은 사람들이라도 미우를 깊이 사랑해준다면 미우는 편안한 마음으로 잠을 잘 수 있기 때문이다.
아06. 강수가 행복에 대해 철학적으로 깊이 성찰한다면 강수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느낄 것이다. 강수가 돈의 많고 적음에 따라 행복을 측정하는 사람이라면 강수는 가진 돈이 줄어들 때 불행해진다. 강수가 가진 돈이 줄어들 때 불행해진다면 강수는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평생 노심초사해야 한다. 강수가 더 많은 돈을 벌기 위해 평생 노심초사해야 한다면 강수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강수가 돈의 많고 적음에 따라 행복을 측정하는 사람이거나 권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행복을 측정하는 사람이다. 강수가 권력의 높고 낮음에 따라 행복을 측정하는 사람이라면 강수는 가진 권력이 없어질 때 불행해진다. 강수가 가진 권력이 없어질 때 불행해진다면 강수는 더 높은 권력을 얻기 위해 평생 노심초사해야 한다. 강수가 더 높은 권력을 얻기 위해 평생 노심초사해야 한다면 강수는 지속가능한 행복을 느끼지 못한다. 따라서
답: 강수는 행복에 대해 철학적으로 깊이 성찰하지 않았다.
자[편집]
주어진 문장들과 낱말들을 남김 없이 써서 타당한 추론을 하나 만들어보세요.
자01.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이거나 이면 이면 따라서
〈몽유도원도〉는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거나 안견이 그린 그림이다. 〈몽유도원도〉가 안평대군의 꿈을 그린 그림이라면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몽유도원도〉가 안견이 그린 그림이라면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따라서 〈몽유도원도〉는 한국 산수화 발전에 큰 영향을 끼쳤다.
자02.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다.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다. 한국은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은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이거나 이면 이면 이면 따라서
한국은 승자독식 사회이거나 약육강식 사회이다. 한국이 승자독식 사회라면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한국이 약육강식 사회라면 한국은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이다. 만일 한국이 정의의 원칙을 위배하는 사회라면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 따라서 한국의 대다수 국민은 불행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