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러나저러나 익힘"의 두 판 사이의 차이

Organ
이동: 둘러보기, 검색
(새 문서: * 오늘 공동작업으로 돌아가기 ===다=== '''다음 추론이 이러나저러나를 바르게 쓴 추론이면 “바”라고 쓰고 잘못 쓴 추론이면 “못”...)
 
잔글
44번째 줄: 44번째 줄:
  
 
===바===
 
===바===
'''다음 추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기본 추론규칙들과 뒤로 이면 없애기를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 보세요.'''
+
'''다음 추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 보세요.'''  
  
 +
*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풀어야 하는 다양한 문제를 만들어 보세요.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러나저러나 등을 써야 하는 것이면 더 좋아요.
  
본보기: 스펀지 금속은 물에 가라앉지 않는다. 스펀지 금속의 비중이 물보다 크다면 스펀지 금속은 물에 가라앉는다. 스펀지 금속의 비중이 물보다 크지 않다면 스펀지 금속은 항공기 소재를 쓰일 수 있다. 따라서 스펀지 금속은 항공기 소재를 쓰일 수 있다.
 
  
 +
바01. (주. 전제 4개)
  
# 스펀지 금속은 물에 가라앉지 않는다.
 
# 스펀지 금속의 비중이 물보다 크다면 스펀지 금속은 물에 가라앉는다.
 
# 스펀지 금속의 비중이 물보다 크지 않다면 스펀지 금속은 항공기 소재를 쓰일 수 있다.  //  스펀지 금속은 항공기 소재를 쓰일 수 있다.
 
# 1과 2에서 뒤로 이면 없애, 스펀지 금속의 비중은 물보다 크지 않다.
 
# 3과 4에서 이면 없애, 스펀지 금속은 항공기 소재를 쓰일 수 있다. “끝”
 
  
덧붙임: 뒤로 이면 없애기를 할 때는 두 개의 문장이 있어야 한다. 우리는 문장1과 문장 2에 추론규칙 뒤로 이면 없애기를 적용했는데 이를 “1과 2에서 뒤로 이면 없애”라고 짧게 쓴다. “1과 2에서 뒤로 이면 없애”는 “문장1과 문장2에 추론규칙 뒤로 이면 앲애기를 적용하여”를 뜻한다.
+
바02. (수. 전제 4개)
  
* 뒤로 이면 없애기를 반드시 써야 하는 문제를 만들어 보세요.
 
  
 +
바03. (주�. 전제 5개)
  
바01. 철학자 콰인은 자연주의자이며 인식론이 심리학의 일종이라고 주장했다. 만일 콰인이 이성의 자율성을 믿었다면 그는 인식론이 심리학의 일종이라고 주장하지 않을 것이다. 따라서 철학자 콰인은 자연주의자이며 이성의 자율성을 믿지 않았다.
 
  
바02. (. 바01과 비슷한 것)
+
바04. (. 전제 5개)
  
  
바03. (. 바01과 비슷한 것)
+
바05. (. 전제 5개 이상)
  
  
바04. (주. 본보기와 비슷한 것)
+
바06. (수: 전제 6개 이상)
  
  
바05. (수. 본보기와 비슷한 것)
 
 
 
바06. (주: 전제 3개. 이거나 문장이 있는 것)
 
 
 
바07. (수: 전제 4개. 이거나 문장이 있는 것)
 
 
 
바08. (주. 전제 5개. 보다 복잡한 문제)
 
 
 
바09. (수: 전제 5개. 보다 복잡한 문제)
 
  
 
===사===
 
===사===
 
'''다음 추론의 결론을 기본 추론규칙과 뒤로 이면 없애기 따위를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낼 수 있으면 “수”라 쓰고 이끌어낼 수 없으면 “못”이라고 쓰세요.'''
 
'''다음 추론의 결론을 기본 추론규칙과 뒤로 이면 없애기 따위를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낼 수 있으면 “수”라 쓰고 이끌어낼 수 없으면 “못”이라고 쓰세요.'''
  
* 거짓이다 없애기,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넣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를 모두 쓸 필요는 없고, 이 가운데 일부를 쓴 추론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타당할 필요는 없고, 타당한지 부당한지 헷갈릴 수 있는 문제를 만드세요.
+
* 거짓이다 없애기,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넣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면 잇기, 이러나저러나를 모두 쓸 필요는 없고, 이 가운데 일부를 쓴 추론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타당할 필요는 없고, 타당한지 부당한지 헷갈릴 수 있는 문제를 만드세요.
  
 
사01. (주)  
 
사01. (주)  
112번째 줄: 94번째 줄: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나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빈 칸에 들어갈 전제와 결론은 될 수 있는 한 단순해야 합니다.'''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나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빈 칸에 들어갈 전제와 결론은 될 수 있는 한 단순해야 합니다.'''
  
* "" 문제에서 만들 만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결론을 지워 따라서 문제를 만들거나, 전제들 중 하나를 지워 왜냐하면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
* "" 문제에서 만들 만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결론을 지워 따라서 문제를 만들거나, 전제들 중 하나를 지워 왜냐하면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아01.  (주)
 
아01.  (주)
131번째 줄: 113번째 줄:
  
  
* "사" 문제에서 만들 만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논리 레고를 만들면 됩니다. 가급적 문장을 짧게 만드세요.
+
* 이러나저러나를 사용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논리 레고를 만들면 됩니다. 가급적 문장을 짧게 만드세요.
  
 
자01. (주)
 
자01. (주)

2012년 8월 10일 (금) 21:18 판


다음 추론이 이러나저러나를 바르게 쓴 추론이면 “바”라고 쓰고 잘못 쓴 추론이면 “못”이라고 쓰세요.

다01. (주)

다02. (수)

다03. (수)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본보기: 대한민국 검찰은 부패했거나 조직의 안전을 우선시한다. 만일 대한민국 검찰이 부패했다면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만일 대한민국 검찰이 조직의 안전을 우선시한다면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따라서 답: 검찰은 혁신가를 향한 표적수사를 또 다시 감행할 것이다.

라01. (주)

라02. (수)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 이러나저러나를 완성한 뒤, 세 전제들 중 하나를 왜냐하면으로 돌리세요.


마01. (주)


마02. (주)


마03. (수)


마04. (수)


다음 추론이 타당하다는 것을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 보세요.

  • 기본 추론규칙과 파생 추론규칙을 써서 풀어야 하는 다양한 문제를 만들어 보세요.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러나저러나 등을 써야 하는 것이면 더 좋아요.


바01. (주. 전제 4개)


바02. (수. 전제 4개)


바03. (주�. 전제 5개)


바04. (수. 전제 5개)


바05. (주. 전제 5개 이상)


바06. (수: 전제 6개 이상)


다음 추론의 결론을 기본 추론규칙과 뒤로 이면 없애기 따위를 써서 차근차근 이끌어낼 수 있으면 “수”라 쓰고 이끌어낼 수 없으면 “못”이라고 쓰세요.

  • 거짓이다 없애기, 이고 넣기, 이고 없애기, 이거나 넣기, 이거나 없애기, 이면 없애기, 뒤로 이면 없애기, 이면 잇기, 이러나저러나를 모두 쓸 필요는 없고, 이 가운데 일부를 쓴 추론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타당할 필요는 없고, 타당한지 부당한지 헷갈릴 수 있는 문제를 만드세요.

사01. (주)

사02. (주)

사03. (주)

사04. (주)

사05. (수)

사06. (수)

사07. (수)

사08. (수)


다음 추론을 타당하게 만들고자 할 때 “따라서”나 “왜냐하면” 다음에 무엇이 오면 좋을까요? “따라서” 다음에 올 문장은 주어진 전제들 모두를 써서 이끌어낼 수 있는 결론이어야 합니다. “왜냐하면” 뒤에는 주어진 전제들로부터 이끌어낼 수 없는 새로운 전제가 와야 합니다. 또한 주어진 전제들과 새로운 전제 가운데 결론을 이끌어내는 데 없어도 되는 전제가 있어서는 안 됩니다. 빈 칸에 들어갈 전제와 결론은 될 수 있는 한 단순해야 합니다.

  • "바" 문제에서 만들 만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결론을 지워 따라서 문제를 만들거나, 전제들 중 하나를 지워 왜냐하면 문제를 만들면 됩니다.

아01. (주)

아02. (주)

아03. (주)

아04. (수)

아05. (수)

아06. (수)

주어진 문장들과 낱말들을 남김 없이 써서 타당한 추론을 하나 만들어보세요.


  • 이러나저러나를 사용한 추론을 하나 만들고 논리 레고를 만들면 됩니다. 가급적 문장을 짧게 만드세요.

자01. (주)


자02. (수)


자03. (수)